화공품ㆍ곡물 증가세, 컨테이너는 0.7% 감소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445만 톤(수출입화물 9368만 톤, 연안화물 277만 톤)으로 전년 동월대비 5.8% 감소했다.

목포항은 4.8%, 포항항은 1.4% 증가했으나 광양항, 평택당진항, 인천항은 11.4%, 11.1%, 11.0% 각각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화공품이 전년 동월 대비 8.6%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으며, 기계류, 양곡도 각각 3.4%, 2.3% 증가한 반면, 철재는 15.0%로 크게 감소했고, 유연탄과 목재도 각각 14.7%, 13.5% 감소했다.

<비컨테이너 화물>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7천8,594만 톤으로 전년 동월(8천6,129만 톤) 대비 8.7% 감소했다. 목포항, 포항항, 동해묵호항 등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인천항을 비롯한 광양항, 평택당진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목포항은 유연탄 수입의 소폭 증가와 연안운송을 통한 유류 입항 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항항은 철강재 생산을 위한 광석 수급 조정으로 인해 일시적인 광석 수입 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했다.

반면 인천항은 유류품목의 물량 감소, 전월 바다모래 물량 증가로 인한 수급조정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6.3% 감소했으며 광양항은 글로벌 철강 수요부진 및 수입규제 등으로 인해 철강재 수출 감소와 이에 따른 원자재인 광석 수입 감소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3.3%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화공품, 양곡 등의 물동량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6.3%, 4.2% 증가한 반면, 철재, 유연탄, 자동차 등은 16.0%, 14.7%, 14.5% 감소했다. 화공품은 국제 유가의 하락, 석유화학 원료 수요 증가와 화공품 가공재 강세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6.3% 증가했으며 양곡는 지난해 대비 곡물류 가격의 하향세 등의 영향으로 평택·당진항, 울산항 등에서 양곡 수입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4.2% 증가했다.

반면, 철재는 글로벌 철강 수요부진으로 인해 광양항, 포항항의 철강재 수출 감소, 부산항의 철재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19.2% 감소했으며 유연탄은 인천 영흥발전소 및 하동화력발전소 등에서 유연탄 수입물량 감소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 화물>

8월 전국항만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0.7% 감소한 212만4천teu를 기록했다. 수출입화물은 2.4% 증가한 124만 8천teu를 기록했으나 환적화물 5% 감소한 85만 7천teu에 그쳤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2.8% 감소한 159만 6천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1.1% 소폭 감소한 77만 4천teu, 환적 물동량은 4.4% 감소한 82만 3천teu를 기록했다. 지역별 환적화물을 보면 유럽이 38.2% 감소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중국(3.1%↓), 미국(4.3%↓), 일본(5.6%↓) 등이 감소세를 보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 대비 3.9% 증가한 18만teu를 기록했다. 수출입은 11.3% 증가한 15만teu를 기록했으나 환적이 22.2%나 감소한 3만천teu에 그쳤다. 인천항은 중국, 베트남, 대만과의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한 21만 9천teu를 기록했다.

한편 8월까지 누계실적으로 세계 10대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1억 4108만teu)와 비슷한 수준인 1억 4114만teu를 처리했다. 세계 1위인 상해항은 전년대비 0.7% 증가한 2447만teu를 처리했고 싱가포르항은 2,044만teu(3.1%↓)로 2위, 심천항은 1580만teu(1.1%↓)로 3위를 유지했다.

4위 닝보-저우산항은 전년대비 3.8% 증가한 1474만teu로 10위권 항만중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기록했다. 부산항은 전년 대비 0.8% 감소한 1292만teu를 처리해 5위를 기록했다. 홍콩항은 9.4%나 감소한 1249만 teu)로 6위, 청도항은 3.8% 증가한 1196만 teu로 7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