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전 세계 600여개 항만 생산성 분석 발표
선박 재항시간 증가에 따른 생산성 제고 지적

지난해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이 2016년 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에도 선박의 재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선석생산성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아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은 최근 ‘KMI 동향분석’을 통해 IHS Markit의 원자료를 토대로 전 세계 600여개 항만, 1500여개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선석생산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은 2017년 들어 시간당 89.8회의 선석생산성을 기록하면서 순위로는 2단계 상승한 전 세계 3위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대비 7.0% 대폭 증가한 수치로 전 세계 600여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균 선석생산성인 시간당 62.3회와 비교해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항만별 선석생산성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부산항이 전년 대비 4계단 상승한 세계 10위를 차지한 가운데 이는 신항 일부 터미널의 하역장비 개선과 타부두 환적의 부두 내 운송문제 개선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KMI는 판단했다.

부산항의 지난해 선석생산성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한 시간당 92.1회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선박대형화 대응의 일환으로 신항 터미널별 하역장비 개조 및 신규투입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선석 생산성 추기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광양항과 인천항의 선석생산성도 전년대비 각각 4.7%(19위), 10.1%(80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터미널별 선석생산성에서 부산 신항 PNIT가 세계 8위로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PNIT는 시간당 108.2회로 전년 동기 대비 13.9%의 큰 증가세를 기록했다. 2017년 1분기에 시간당 96.2회를 기록했던 PNIT의 선석생산성은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114.6회/시간, 111.9회/시간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신항 PNC의 시간당 선석생산성은 전년대비 7.8% 상승하나 97.9회를 기록하며 19위를 기록했고 한진해운이 모항으로 사용하던 HJNC의 선석생산성은 파선으로 저하되었던 전년대비 26.5% 증가한 95.5회/시간(24위)로 30위권에 진입했다. 반면 신항 1~3부두와는 대조적으로 HPNT, BNCT의 선석생산성은 각각 86.9회/시간(48위), 83.2회/시간(53위)로 50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항 경쟁력을 가늠하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대상의 선석 생산성에서는 부산항이 전년 동기 대비 6단계 상승한 10위를 기록했으며 8000teu급 이상 초대형 선박의 터미널별 선석생산성은 부산 신항 HJNC가 시간당 130.1회로 4위, PNIT가 전년대비 13.7% 증가한 시간당 113.9회로 18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HPNT도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112.9회를 기록하며 21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한편 지난 한해 전 세계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균 생산성은 큰 폭의 생산성 향상(7.7%)을 보였던 2016년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7000teu급 안팎의 포스트 파나막스 컨테이너 선박의 생산성 감소와 8000teu급 이상 초대형 선박 생산성 정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와 북미(동안)이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북미(서안)과 중동/아프리카의 선석생산성은 부진했다. 동북아시아지역의 생산성은 82.3회/시간으로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미(동안), 북미(서안), 중동/아프리카, 북유럽, 라틴아메리카, 지중해 지역 등 비교권역 8개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중국의 일부 컨테이너 항만 선석생산성 감소로 전년대비 1.9% 증가하는데 그쳤다.

KMI는 “2017년 선박 당 평균 하역량이 전년대비 부산항 19.2%, 광양항 8.5%, 인천항 33.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고, 특히 부산항의 경우에는 1만teu급 이상 컨테이너 선박의 평균 하역량이 2017년 들어 4000teu에 육박하는 등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에 따른 선박재항시간 증가와 함께 선석생산성 저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KMI는 “물동량 증가에 따른 선석생산성 둔화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장치장 시설 능력을 확충하는 등 선박의 재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선석생산성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