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사상 첫 6천억불 넘어설 듯”

8월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512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세가 이어져 하반기 수출이 평균 5% 내외로 유지될 경우에는 올해 사상 최초로 6000억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8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512억달러, 수입은 9.2% 증가한 443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며 연간 5번째로 500억달러 이상을 수출한 것이다. 무역수지는 69억달러 흑자로 7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8월 수출이 증가세를 이어간 것에 대해 산업부는 중국, 미국 등 세계 제조업 경기호조, 주요국 국내총생산(GDP) 증가, 국제유가 및 주력제품 단가 상승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또한 올해 8월까지 누적 수출액도 6.6% 증가한 3998억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중이다.

13대 품목중 6개 두자릿수 증가

8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13대 주력품목 중 10개 품목이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증가한 품목 가운데 6개 폼목이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수출이 가장 크게 증가한 품목은 석유제품이었다. 석유제품은 42.2억달러를 수출해 전년 동기 대비 46.3% 증가했고 석유화학도 17% 증가한 43.5억달러를 수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는 115억달러 수출로 31.5% 증가했고 일반기계는 42.8억달러를 수출해 16.3% 증가했다.

철강은 글로벌 규제로 높은 단가가 지속되고 있고 해양철구조물 수출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한 31.8억달러를 수출했으며 섬유는 원료가격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올라 2.4% 증가한 11.1억달러를 수출했다. 자동차와 부품은 0.5%씩 증가해 각각 28.5억달러, 18.7억달러를 기록했다.

컴퓨터 수출은 EU, 베트남 등의 수요 증가로 11.7% 증가한 9.3억달러를 기록했고, 반면, 가전은 대형TV 등의 수출 증가에도 해외 생산기지 확대의 영향으로 25.2% 감소한 5.6억달러를 기록했다.

선박도 지난해 8월 선박수출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8월 선박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8% 대폭 감소한 6.9억달러를 수출했다. 무선통신기기는 경쟁심화, 스마트폰 교체주기 장기화 등에 따른 영향으로 15.5% 감소한 15.3억달러로 나타났다.

지역별 수출, EU·중동·인도만 감소

지역별로는 글로벌 해운경기 침체의 영향과 기저효과, 현지공장 신증설 등으로 對EU, 對인도, 對중동의 수출이 감소했고 이를 제외한 전 지역은 수출 증가세를 기록했다.

EU 수출은 글로벌 해운업 경기 침체로 인한 수주감소와 상반기 자동차 구매정책에 의한 기저효과 등으로 3.6% 감소한 44.9억달러를 수출했다.

가장 큰 수출시장인 중국에는 20.8% 증가한 143.9억달러를 수출했다. 중국은 데이터 서버용과 D램 수요증가로 반도체 수출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수출은 1.5% 증가한 60.4억달러를 기록했다. 중국과의 무역분쟁에도 경기 호조가 지속되면서 수출이 증가한 것이다. 일본 수출은 15% 증가한 24.2억달러를 기록했고, 베트남은 생산, 소비 호조 및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43.6억달러 수출로 16% 증가했다. 인도 수출은 제조업 육성정책, 국내기업의 현지공장 설립으로 철강과 석유화학 수출이 증가했으나, 중국산 스마트폰의 현지 생산기지가 늘어나면서 30.6% 감소한 14.1억달러를 기록했다.

향후 수출전망에 대해 산업부는 “미국・EU 등 주요국 제조업 경기 호조세가 지속되고,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우리 주력 품목의 단가 상승 등은 하반기 우리 수출에 우호적 여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산업부 백운규 장관은 “올해 하반기 수출 증가 추세가 평균 5% 내외로 유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금년 수출이 사상 최초로 6000억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밝혔고 “다만,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추세, 연준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시장 불안 등으로 수출 여건이 녹록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산업부는 국내 수출의 하방요인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실물경제 대응반’을 통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보호무역주의 배격을 위한 다자간 공조 및 ▲신남방・신북방 등 대체시장에 대한 수출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수출 상승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9월 중으로 ‘수출 대책회의’를 개최하여 9월 및 하반기 수출 하방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