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물류 기술 도입할 방안 모색해야”

▲ 출처 한국무역협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인도네시아 물류산업에 국내 선진화된 물류 기술을 도입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자카르타지부 김태우 과장은 17일 ‘인도네시아 물류산업’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인도네시아 물류산업 현황과 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물류산업은 중산층 증가로 인한 소비자들의 구매력 상승, 인프라의 보완과 개발, 일용 소비재(FMCG, fast-moving consumer goods) 시장 확대, 전자상거래 시장 호황에 따른 화물량 증가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물류산업 성장에 따라 국제적인 물류기업 DHL, CEVA Logistics, Yusen Logistics, Agility Logistics 등 150여개 이상의 물류업체들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했으며 경쟁력을 확보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는 경쟁국들과 비교해 물류경쟁력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월드뱅크가 발표한 국가별 물류성과지수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46위로 한국(25위), 태국(32위), 말레이시아(41위), 베트남(39위)과 비교해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김태우 과장은 “인도네시아 물류 수준과 세관의 경우, 물류표준화가 거의 되어있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일이 어렵고 서류미비로 인한 통관 지연이 잦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열악한 물류인프라로 물류비도 높다. 인도네시아는 국민총생산(GDP)의 27%에 달하는 물류비용으로 말레이시아(8%), 태국(6%) 등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운송비는 아세안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아 원가의 15%를 차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국의 물류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경제개발마스터플랜(MP3EI)을 발표했다. 적하보험 법체계 강화, INSW(Indonesia Single Window) 권한 강화, 물류업체의 비용절감, 금지 물품수 감소 등이 주요 정책 내용이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로봇 및 센서 기술, 3D 프린팅 등 5가지 핵심 기술 발전을 목표로 첨단 기술 산업을 장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를 통해 지능형 유통관리기술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여 미흡한 물류 표준화체계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막고 상품유통 플랫폼을 개선하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 물류산업은 정부 정책과 최근 성장세를 바탕으로 꾸준히 발전할 전망이다. Ken Research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화물, 포워딩, 물류 창고 서비스 시장은 2021년까지 5.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전자상거래와 신선물류 수요 증가, 소비재시장 확대, 개인 및 기업 문서 배달 등 물류산업의 추세에 따라 소화물 등의 특송 서비스가 증가할 전망이다.

때문에 김태우 과장은 한국의 배달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한 전문 배달앱 개발 기술을 인도네시아에 수출할 수 있을 것이란 주장이다. 또한 한국의 선진화된 항만물류 자동화 시스템이나 트랙킹 기술, 매커니즘 등의 도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물류의 입출고에 따른 재고현황 변동이 잦은 항만물류 환경에 복잡도가 낮은 재고 및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과 실시간으로 화물의 위치를 전달하고 고객의 배송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 등을 인도네시아에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