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꾸준한 모니터링 및 환적물량 다변화 필요”

미중 무역전쟁이 갈수록 격화되어 가는 가운데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해 부산항도 물동량 유실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은 최근 발표한 월간동향에서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양국 간 물동량 감소와 더불어 기존 물량의 타국 이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부산항을 포함한 태평양 노선의 기항 항만 물동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중 무역갈등은 본격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향후 대규모 무역전쟁으로 확산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 3월 미국 정부가 중국산 철강, 알루미늄 수입품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하며 세계 주요 교역국들과 무역마찰이 시작됐으며 가장 최근인 지난달 6일에는 34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목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맞서 중국도 545개의 미국산 수입품목에 대해 동일 규모의 보복 관세를 발동했다.

또한 미국 트럼프 정부는 향후 2주 이내에 1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목에 대해 관세 부과를, 중국은 114개의 미국산 수입품목에 같은 규모의 보복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한편, 미국 정부는 추가적으로 오는 8월 말까지 청문회를 통해 2000억달러의 중국산 수입품목에 10% 추가 관세 부과방안을 결정할 방침이며, 이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 보복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KMI는 단기적으로는 7월 신규 관세부과에 따른 항만물동량의 큰 감소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해운시장의 불확실성 증가와 세계 경제성장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7월 신규 부과관세로 컨테이너물동량 감소에 대한 우려가 높았지만 관세부과 대상품목이 지정된 이후 분석한 결과 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은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무역전쟁이 단기적으로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무역장벽이 높아질수록 교역국들의 경제 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KMI의 주장이다.

실제로 미국의 7월 신규 관세 부과는 약 500억달러 규모로 이중 첫 번째 관세 대상 품목들의 규모는 약 380억이며 두 번째 관세대상에는 중국산 플라스틱과 석유수입제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예고된 160억달러 규모의 추가 관세부과가 이행된다면 중국이 2017년 기준으로 미국 원유 수출의 25%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유조선 및 가스운송선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것이 중국의 원유수요를 감소시킬 수는 없겠지만 수입노선을 서아프리카로 바꾸는 등 원유무역 노선의 지각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KMI는 지적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양국 간 물동량 감소 및 운임하락에 대비해 3대 해운 얼라이언스 역시 잇따라 미주노선 일부를 중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2M은 지난 6월 마지막부터 화동/화남-미서남 노선 1개를 약 5주간 일시 중단하기로 했으며 OCEAN은 7월 16일부터 화중/화북-미서 노선 1개를 중단했고 THE Alliance는 오는 8월부터 중국 화중/화북-미서 노선 1개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처럼 향후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양국 간 물동량 감소는 물론 기존 물량의 타국 이전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는 부산항을 포함한 태평양 노선의 기항 항만 물동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의 대중 수입 품목은 주로 중저가 제품 등 컨테이너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중 수출 품목은 농산물 및 첨단제품으로 벌크 및 컨테이너에 집중되어 있다. 프랑스의 해운 전문 글로벌 컨설팅기관인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전체 태평양 노선 중 극동발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중국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8%이며, 미국의 대중 수입이 10% 감소하면 6.8%의 동북아 컨테이너 물동량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환적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고 환적화물 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을 오가는 화물의 비중이 높은 부산항의 특성상 향후 지속적인 무역패턴 변화 모니터링 및 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MI는 “특히 부산항의 경우 물동량 유실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남방 외교정책을 적극 활용한 환적물량 다변화 및 신규 환적화물 유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