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부산‧인천 물류산업 현황’ 보고서 발간
"관련 법규 및 제도 정비 등 정부 지원 필요"

우리나라 수출입 물류 중심지인 부산‧인천지역의 물류산업이 보다 성장하기 위해서는 물류업체의 대형화 및 디지털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최근 「부산‧인천지역 물류산업의 현황 및 정책과제」라는 조사연구보고서를 발표하고, 관련 법규를 마련하는 등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코로나19 이후 물류산업은 글로벌 물류차질, 비대면경제 활성화 등으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항공기 및 선박 부족, 일부 공항‧항만의 운영 중단 등으로 글로벌 물류망의 안정성은 약화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확대 및 기술 발전 등과 함께 확산된 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세는 코로나19 충격을 계기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이와 같은 최근 물류산업의 환경 변화에 발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항만과 공항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출입 물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부산‧인천 지역의 물류산업을 점검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국내 항만 물동량의 75%, 인천은 국내 공항 물동량의94.8%를 차지할 정도로 국내 물류산업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물류산업에서 부산과 인천이 차지하는 비중만하더라도 사업체수 기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각각 6위 및 3위 수준이며, 종사자 수 기준으로는 3위, 4위 수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위상과는 대조적으로 부산‧인천지역의 물류업체는 사업규모가 영세하고 디지털 전환 역량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화물운송업 비중 탓에 물류업체가 대체로 5인 미만 개인사업체(부산 81.1%, 인천 91.8%)로 구성되는 등 영세성을 나타냈으며, 부산과 인천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 물류산업의 전반적인 디지털 전환 역량은 주요 물류선진국에 상대적으로 붑족한 것으로 평가된 것.

반면, 부가가치 창출력에서는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업체당 부가가치 창출력이 전국 평균 1.4억원인데 반해 부산은 2.7억원, 인천은 2.3억원에 달해 항만‧공항을 기반으로 한 물류시설운영업을 중심으로 여타 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구1천명당 산업밀도 등 물류산업의 특화도 역시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세부업종별로는 인천은 화물운송업에 특화된 반면 부산지역은 물류시설운영업 및 물류관련서비스업에 특화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보고서는 부산‧인천지역의 물류산업의 현황과 대내외 환경 변화를 감안할 때 향후 물류산업의 성장 및 고도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물류 차질을 완화하는 가운데 중장기적으로는 물류업체의 대형화 추진, 배후물류단지 조성, 고부가가치 신성장 물류산업 육성,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먼저 물류 차질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임시선박 투입, 물류비 보조, 물류정보 공유 확대 등을 지속하는 한편, 물류업체 대형화를 위해서는 종합물류기업인증제 등의 육성정책 지속을 위한 법규 마련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배후물류단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조기업, 글로벌 배송센터 등을 적극 유치함과 동시에 신선화물‧의약품 수요 증가, 온라인 상거래 시장 확대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환경 변화와 연계된 신성장 분야 적극 지원 및 물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물류 인프라, 기술, 인력 등 다방면에서의 디지털 전환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